이산화탄소의 자원화
인공 광합성 기술의 상용화를 통한 기후위기 극복 및 탄소중립의 실현
- 태양광을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탄소기반의 액체 연료로 전환하는 고효율 대용량화 기술 개발
-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고효율 광촉매의 생산 기술 개발
- 저농도 이산화탄소의 고효율 저비용 포집 기술 개발
R&D 소개
대기중 혹은 발전소나 제철소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인공 광합성을 적용하여 액체 연료로 전환하는 연구개발이며, 인공광합성을 적용하여 산업현장에서 포집된 CO2를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한 사례가 없음
- 이산화탄소가 전환된 액체연료(e-Fuel)는 청정연료(e-Fuel)로 분류하여 차세대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부상
- EU는 2035년 탄소중립 로드맵 제시, 단 e-Fuel은 예외
- 한국 탄소중립위원회는 청정연료에 다양한 혜택(** 참조)
- 연구과제 후 적용 가능한 사업(Utilization)
- e-Fuel 생산
- e-Fuel 연속 대용량화 생산설비 제작 _ 국내 기업 & 해외수출
- e-SAF(청정항공연료유)로 확대
- 광 촉매, 광 전극 생산.판매
- CO2 고효율 포집 시스템 개발
광 전기 화학 및 광 촉매 반응 시스템 기술
(Photoelectrochemical and
Photocatalytic Systems)의
4대 핵심 기술 개발
액체연료로 전환하는촉매 소재,
시스템기술 및 부품을 개발 및 판매
e-Fuel로 생산공정기술 대용량화
정부 지원
- 정부 전 부처의 적극적 기술 및 R&D 지원
- 사업 초기 경제성 보강을 위한 제도적 지원
- K-taxonomy : e-Methanol 제조활동 추가
- 금융지원 : 지역활성화 투자펀드 등 자금대출, 금리혜택, 보증
- ‘녹색제품’ 인증 공공구매
- 연료. 원료 이용.보급 확대 : 석유사업법시행령 개정
기술 특장점
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액체연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음
식물 광합성 원리
- 하늘의 햇빛+뿌리 물(H2O)+공기 중 CO2
- 산소. 포도당 -> 동물
- 지속가능한 순환 구조
-
1.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청정연료(e-Fuel)
-
2. 높은 에너지 밀도가 필요한 항공유 연료(e-SAF)
이산화탄소 전환 e-SAF 생산 기술 개발 (Technology Development of Carbon Dioxide Conversion into e-SAF)


